레이블이 환율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환율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2년 10월 18일 화요일

은행들이 예금금리 높여서 고객에게서 예금을 많이 유치하는 이유





최근 기준 금리가 상승하면서 

은행들이 위와 같이 예금 금리를 급격히 올리고 있다. 


도대체 왜 일까?


이유는 아래의 기사에 있었다.



요즘 많은 기업들의 자금 확보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은행들은 대출을 많이 해줄수록 매출과 이익이 확대되는데 

은행들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이.... 바로

가계에서 돈을 땡기는, 즉 정기예금을 많이 가입 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고객 돈을 많이 유치하기 위해 금리를 올리는 것이고...

물론... 은행에서 직접 사채를 발행하는 경우도 많다.


그럼 기업들은 자금 확보 수요가 왜 증가했을까?

  --> 기업들은 항상 투자 및 운전자본 차원에서 자금이 필요한데,

        최근 금리인상 등으로 인한 경기 둔화로 인한 매출 감소 및 

        인플레이션과 환율 변화 등에 따른 비용증가로 특히 돈이 많이 필요한 상황이었고

        앞으로 금리가 더 오를 것 같으니 미리 땡겨 놓으려는 가수요 등이 붙은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앞으로 어떻게 될까?

그건... 

2022년 10월 13일 목요일

22년 8월 누계 정부 적자 85조원(국가신용등급 이슈??)

 

22년 1~8월 누계 기준

국가의 수입이 21년대비 41조원 늘었는데, 지출은 62조원 늘었다고 한다. 

(아니 도대체 정부는 뭐하면서 돈을 쓴거지? 재작년처럼 내 주머니로 지원금 한 푼 안들어왔는데..)


미국발 금리 인상이 진행되는 와중에 국가 지출을 크게 늘리면서,

정부 기관 이전 등을 통해 국가 부채를 늘리니...

원화 환율이 하락할 수 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 구조가 조금만 더 장기화 되면 이제 국가 신용등급 하락이 될까?

그러면 안되는데... 

2022년 10월 12일 수요일

기준금리 예상대로 0.5% 인상 -> 이제 3% 시대

 

대한민국 10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결과 

기준금리 2.50% 에서 3.00%로 50bp 인상하기로 했다.


이는 단순히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에 발맞춘 것 뿐만이 아니라

소비자 물가가 5~6%대의 고물가 상황이 나타나고 있어서 진행된 것이라는 메세지를 주었고

향후 3.5% 까지 올릴 수 있다는 암묵적 시그널을 준 것이다.


이제 자산 가격은 당분간 더 하락 할 수 밖에 없겠다...

심지어 금융의 시스템 리스크도 걱정해야하고...


하지만...

한편으로는 채권에서 기회가 있을 수도 있겠다.

2022년 10월 11일 화요일

원화 약세이면 수출이 잘된다고? No... No..

 


22년 10월 11일 아래와 같은 뉴스가 연달아 떴다.

10월 10일까지의 무역수지가 38억$ 적자..

올해 누적 무역수지 적자가 327억$... 


뭐, 원인은 뻔히 원화 환율 하락에 따른 에너지 가격 부담증가 및

원화 환율 하락 불구하고 수출 물량 증가 제한적으로 추정된다.

(환율영향으로 가격 몇 % 싸진다고 수요가 엄청 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무튼, 앞으로 정책 결정하시는 분들은 이번 일을 참고하셔서 원화 약세를 유도하는 일이 없었으면 한다...


그런데, 이와중에 기준 금리를 올려서 환율을 잡겠다?


글쎄? .... 효과가 제한적이지 않을까?

2022년 10월 7일 금요일

시장을 이길 수 있는 자는 아무도 없다. 심지어 정부도...

 


지난 6월 KDI에서 엔화 가치 하락에 따라 일본 정부가 최후의 수단으로 외환시장에 개입에 나설 수 있다고 분석한 적이 있는데.. 

지난 9월 일본정부가 외환시장에 진짜 개입을 했다.

근데... 일본 외환보유고가 1조 달러가 넘는구나...


아무튼, 이러한 일본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의 결과는?


그렇다... 약세 지속... 


한국도 그렇고 영국도 그렇고... 그리고 일본도...

시장의 흐름에서는 정부개입도 잠깐의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대세를 바꿀수는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에 대해서 정책 입안자들이 insight를 얻었으면 좋겠는데...

지금 상황은 좀 암울한 것 같다.

2019년 8월 11일 일요일

8월 5일 위안화 환율 7 돌파!(그러면 향후는?)

8/5일 중국 위안화 달러 환율이 7을 돌파하였다.

이를 중국에서는 
포치(破七, 한국 발음으로는 파칠)라고 하는데

달러당 위안화 가치가 7위안이라는 
암묵적인 벽을 깼다는 뜻이다.

(기술적 분석 등을 할 때 
 심리적 지지선 등이 깨졌다
 생각하면 비슷하다)







이는 제12차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에서
별다른 성과없이 끝나고

미국의 추가관세 부과예고
(3,000억 달러 대상 수출 제품에 
 9/1일부터 10% 부과)면서
무역분쟁이 심화되며 
한단계 심각한 국면으로 접어들 것이라는 
예상이 겹치며 발생한 것이라

앞으로 뭔가 더 악화될 것이라는
예상을 하게 되는 근거를 가지고 있으며

11년 3개월 만에 7위안이 깨진 것이기 때문에
꽤 중요한 이벤트라고 판단된다.




이 7 위안이라는 벽은 
중국 정부가 그 동안 관리해온 기준으로

관치 금융을 하는 중국의 특성 상
중국 정부의 용인없이는 
진행될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된다는 것인데...

여기에 대한 중국 정부의 반응은 아래와 같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 재무부는 같은 날인 8/5일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였고

중국 정부는 이에 대응하는 모습으로

인민은행에서 8/6일에 300억RMB 규모의 

위안화 표시 중앙은행증권을 발행한다고 발표하였는데..
(위안화 강세의 제스쳐 중 하나이긴 함)

여기에 대한 시장 전망은...
중국 정부가 미중 무역협상의 장기화 및 관세부과를
염두에 두고 위안화의 약세를 용인할 것으로 보고있고


심지어 IMF에서도 8/9일 
중국이 환율 조작을 하지 않았다는 보고서를 발표하며
중국의 현 환율 움직임의 정당성을 부여했다.
http://news.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1908120013&t=NNv






-----------------

그럼 이제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
상당 수의 금융기관은 

7.2~3 이상을 전망치로 내놓고 있고

중국 정부는 미국을 향해 
농산물 수입 중단 및 보복 관세 부과 등을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미국 정부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것으로 봐서는
당분간 미국과 중국은 
잘 지낼 의지가 없어보인다.


그러면 역시 강대강 대치로 
갈 수 밖에 없어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은 살아날 구멍을 찾아야 한다.
미국에 한국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언급하여
(그렇다고 미국에 중재를 요청하면
 그 청구서도 꽤 비쌀 것이다)
미국이 스스로의 니즈를 반영하여
일본이 한국에 대해
경제 제재
하지 못하도록 해야하고
(아마 일본은 몇 년 내로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 별도로 설명하겠다.
(일본과의 관계를 정상화 하려면 
 한국 내부의 정상화 또한 이루어져야 한다)
(이 모든게 다 연결된 것이다)

신남방정책/북방정책을 강화 및 가속화하여
중국에 대한 무역의존도를 낮추는 수밖에 없다.

또한 자금을 적정 수준으로 풀어서 
가계 소득을 증가 시키고 
(절대 기업을 통해서 가계 소득을 
 증가 시킨다는 생각은 안된다)
(낙수 효과 이런건 없다)
기업이 역량을 가질 수 있게 R&D를 장려해야 한다.
- 모든 산업은 기술이 기반이다.

이미 4대강 등 의미없는 토건사업에 낭비를 해서
한국의 경쟁력은 많이 하락하였다.

그 결과로 해운, 철강, 조선업 등 
과거 한국의 핵심 산업은 경쟁력을 잃었고
4차 산업도 제대로 도입하지 못하고 있다.


여름이 한창이고 여름이 끝나면 
가을 그리고 겨울이 온다.

아마 여름과 가을에는 전쟁이 계속 되겠지만...
겨울에는 전쟁은 멈출 것이고
겨울을 대비하지 못한 사람은 힘들 것이다.


중국의 포치는 이제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는 
변화의 시작이니
이를 직시하며 겨울을 준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