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생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생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7월 25일 화요일

오늘의 집과 왓챠의 기업가치 차이와 그 이유에 대한 고찰

오늘의 집과 왓챠 모두 한때 

매우 높은 가치를 인정 받았던 스타트업 기업인데...


22년 하반기부터 경기가 어려워 지면서 

아래와 같이 많은 업체들이 힘들어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외부 환경은 사실 오늘의 집이나 왓챠 모두 다르지 않을 것 같기도 한데...


최근 이 두 업체의 상황이 많이 다르다고 한다.


왜 일까? 그 이유를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왓챠에 대한 설명이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듯, 왓챠는 원래 영화 리뷰 및 추천 사이트로 시작했고

지금은 OTT 를 본업으로 추진 중이다.


그리고 오늘의 집은...




셀프 인테리어 공유 서비스로 시작했고 많은 개인 이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자기들의 셀프 인테리어를 공유하는 가운데 

반응이 좋은 인테리어 소품 / 가구 등을 e-commerce 하는 회사로 진화했다.

(약간 무신사랑 비슷한데?)


이 회사들은 일부 비슷하고, 일부 다른 모델을 가지고 있는데,

아래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듯 


오늘의 집이 매출 1,200억으로 왓챠 대비 2배 크고, 영업이익 적자도 -400억으로

왓챠 대비 2배이다.


근데, 이상한 것은... 기업가치... 왜 왓챠의 기업가치는 3천억인데...

오늘의 집은 기업가치가 무려 2조원이나 될까?



사실 이것은 이 두 회사의 재무재표를 보면 금방 이해할 수 있다.


먼저 왓챠의 재무재표이다.

아래를 천천히 보면 금방 이해하겠지만...

간단히 정리하자면, OTT를 하다보니 컨텐츠를 소싱하는 비용이 상당히 크고

그 비용 때문에 매출액이 증가해도 영업이익이 증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컨텐츠 소싱에 먼저 현금을 지출해야 해서...

현금이 부족한 사업 구조를 보이고 있다.

(심지어 투자활동 현금흐름 이라고 포장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20년에는

 영업활동 현금 흐름이 적자이다)





그러면 오늘의 집은 어떠한가?

먼저 오늘의 집에 대해 좀 더 깊은 이해를 하기 위해서...

이 회사가 어떻게 성장 했는지를 보도록 하자.




위에서 보았듯

오늘의 집은 빠른 성장과 함께 적자 규모도 확대 되고 있는데...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듯,

기업가치가 높을 수 밖에 없는 몇가지 이유가 있다.

첫번째는 지속적인 양의(Positive) 현금흐름 
(사실, e-commerce를 포한한 대부분의 유통회사는 소비자에게 먼저 대금을 받고
 나중에 정산을 하기 때문에 매출이 성장하는 한 항상 현금이 쌓이게 되어 있다)

그리고 두번째는 컨텐츠 소싱 비용
아까 왓챠에서는 돈을 주고 OTT를 운영하기 위한 영화/드라마 판권을 구매해 왔으나
오늘의 집에서는 고객님들이 알아서 커뮤니티에 다양한 인테리어 사례를 업로드 해준다.





자자...

이 정도만 보아도 감이 오지 않는가?


우리는 여기서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는데...

사업을 논하자면... 매출의 성장, 커다란 매출 규모의 달성은 

너무 당연한 것이고...


진짜 중요한 것으로...

결국 비용 구조를 어떻게 가져가는지, 

그리고 현금 창출 구조에서 어떻게 우위를 가져가는지가

사업의 핵심이 되는 것이라는 것을 배울 수 있다.


왜 드라이버는 Show 이지만, 퍼터는 Money라고 하지 않는가!

쇼도 중요하지만 실제 숫자는 어프로치와 퍼터에 달렸다!!!

(근데 쇼를 못하면 애초에 앞으로 제대로 가지도 못한다 ㅎㅎ)















2022년 10월 11일 화요일

원화 약세이면 수출이 잘된다고? No... No..

 


22년 10월 11일 아래와 같은 뉴스가 연달아 떴다.

10월 10일까지의 무역수지가 38억$ 적자..

올해 누적 무역수지 적자가 327억$... 


뭐, 원인은 뻔히 원화 환율 하락에 따른 에너지 가격 부담증가 및

원화 환율 하락 불구하고 수출 물량 증가 제한적으로 추정된다.

(환율영향으로 가격 몇 % 싸진다고 수요가 엄청 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무튼, 앞으로 정책 결정하시는 분들은 이번 일을 참고하셔서 원화 약세를 유도하는 일이 없었으면 한다...


그런데, 이와중에 기준 금리를 올려서 환율을 잡겠다?


글쎄? .... 효과가 제한적이지 않을까?

2021년 4월 5일 월요일

역사를 알았더라면....(단경왕후 이야기)

 역사를 알았더라면 중종의 첫번째 부인인 단경왕후가 폐위되지 않고

문정왕후 윤씨가 권력을 잡는 일이 없어


파평 윤씨가 득세를 하며 조선이 망국의 길로 접어드는 것을 피할 수 있지 않았을까?

라는 쓸떼없는 생각을 가끔 할 때가 있다.

(문정왕후가 수렴첨정을 하며 파평 윤씨 세력이 권력을 잡게 되는데...

 이때 부터 본격적으로 조선이 망가지기 시작한 것 아닐까?)



위의 이야기는 심지어 조선왕조실록 중 명종실록에 실린 이야기 이다.


권력을 잡고나서 얼마나 삽질 + 비위 등을 하면서 나라를 망쳐 놓았길래...



사실 이 문정왕후는 원래 왕비가 될 상황이 아니였다.


아래 그림을 보면 금방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조선의 11대 왕이었던 중종에게는 총 3명의 정식 왕비가 있었다.


그런데, 단경왕후는 중종이 왕이된지 7일만에 폐위되었고

장경왕후는 인종을 낳다가 사망...

결국 문정왕후만이 살아남아서 13대 왕인 명종의 수렴청정을 하게된 것이다.


그러니까... 문정왕후 윤씨는 단경왕후가 폐위되지 않거나 장경왕후가 사망하지 않았으면

명종의 수렴청정을 하지 않거나 아니면 적어도 장경왕후의 견제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이었던 것이다.


여기서는 인간의 선택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그러니까..  장경왕후야 사망한 것은 어쩔 수 없지만..

만약 단경왕후를 폐위 시키는 일이 없었고 그래서 단경왕후가 권력을 지킬 수 있었다면?


파평 윤씨가 세도 정치를 못하거나 또는 적당히 해먹어서

조선의 역량을 바닥내는 일이 없지 않았을까? 라는 쓸데없는 생각을 하면서...


왜, 단경왕후가 폐위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아... 연산군 때문이었구나..



그러니까 단경왕후 신씨는 폐위를 당한 10대 왕인 연산군의 처남의 딸이라서..


11대 왕인 중종의 부인으로는 적절하지 않아서 폐위 당한 것이었다.




결국 왕이 결정하는 시대였으니..


중종의 결정이 그러했지 않았을까?


그런데... 이게 반드시 그랬어야 할까? 



조선의 4대 왕이었던 세종대왕 또한 비슷한 상황이 있었지만


중종과 다른 선택을 했다.



그렇다...


만약 중종이 역사를 잘 알았더라면...

아니 적어도 세종대왕의 사례를 알았더라면..

(물론 세종대왕 시절에는 왕권이 엄청 강할 때였고,

 일부러 왕권 유지를 위해 주변의 강한 세력을 역모로 몰아 몰살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적절한 명분과 과거의 선례를 통해 단경왕후를 폐위시키지 않고

함께 계속 할 수 있었을 텐데..


그러면 12대 또는 13대 왕이 바뀌거나..

적어도 수렴첨정의 파워가 바뀌면서 조선의 역사가 달라지고


어쩌면... 

이 말도 안되는 일본에게 털리는 상황이 없었을 수도 있었는데...


역사에는 가정이라는 단어가 없기 때문에 더 이상 이야기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친다면...


적어도...

적어도..

적어도.


역사를 통해 

내가 원하는 바의 선례를 잘 고찰하여

내가 하는 선택이 어떻게 후대에 영향을 미칠 것인지 고민하고..

어떻게 타인을 설득할 것인지 정도는

고민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늘 그렇지만..

역사는 반복된다..

그리고 반복되는 흐름을 누군가는 끊게된다.

그 누군가는 누가 될 것인가?

누군지는 모르겠지만 역사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사람이 아닐까?

2020년 8월 20일 목요일

2020년 8월 15일 토요일

대한의사협회의 파업을 바라보며...(#1/3)

얼마전 의사협회에서 파업을 했다.
환자들의 목숨을 담보로...


뭐라 평가할 가치가 없는 행동이었다.


환자들은 의사들이 굳이 파업하지 않아도
충분히 고통을 받고 있는 약자이다. 

그런데 강자인 의사가 약자인 환자를 담보로 잡는게
정상적인 행동인가?


파업의 명분도 졸렬하기 그지 없다.


겨우 의사를 배출하는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반대가
파업의 명분인가? / 애들 장난 하나?
사실 애들도 염치가 있어서 그렇게 안할 것이다.


의사가 부족하긴 하다. 왜?


첫째로 인구 대비 평균적인 의사 숫자가 부족하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인구 1천명당 의사 숫자는 OECD 평균의 65.7%이다.


둘째로 중형 이상 급 병원들의 저비용 고수익 전략에 따라 고용의사 숫자가 적다. 그래서 우리는 큰 병원에 가면 엄청 오래 기다리고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진료를 받게된다.


셋째로 의사 숫자의 지역 편차가 심하다. 예를 들어 서울 인구 1천명당 의사 수는 3.12명인데 경북 인구 1천명당 의사 수는 1.38명으로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인다.


이런데.... 의대 정원 늘리는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명분으로 파업을 했다.


이 협회는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의사 혐오증을 심어주고 싶어하는 것인가? 


아니면 일반 국민의 야근의 일상화 / 라면의 생활화 라는
그들 패거리 수장을 f/up하고자 하는 것일까?


참 답답한 노릇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