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경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경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2년 11월 5일 토요일

22년 11월 흥국생명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미실행에 대한 원인 및 반응에 대한 정리

 


얼마 前 아래와 같이 "레고랜드 부도와 금융시장 경색" 이라는 글을 올렸는데,

http://trmcap.blogspot.com/2022/10/blog-post_19.html


이번 11월 3일에는

흥국생명이 신종자본 증권의 콜옵션 행사를 안하기로 했다는 뉴스가 나왔다. 



맙소사... 

신뢰가 생명인 금융시장에서 신종자본증권의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는 것은

투자자들에 대한 배신과 같은 것인데... 


과연 신종자본증권은 무엇이고 왜??? 흥국생명은 이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게 되었고

그리고 나서 왜??? 발행 시 약속했던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은 것일까?


보험사들은 고객들이 내는 보험료를 받아 운용해 수익을 내다가, 
만기가 되거나 사고가 생기면 보험금으로 지급한다.
 
보험사는 자기 돈이 아니라 수많은 개인이 낸 보험료를 운용하는 것이라, 
보험사는 고객이 보험금을 달라고 했을 때 언제든 지급할 수 있게 
충분하게 자본을 보유해야 하는데,
 
이러한 자본이 충분한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금융감독원에서 관리하는 RBC라는 것이 있고
 
금융감독원에서는 RBC가 200% 밑으로 떨어지면, 
보험사의 자본이 부족하다고 생각해서 자본을 늘리라고 요구하고, 
150% 밑으로 내려가며 더 강한 조치를 하게 된다.
 
이와 관련 흥국생명은 21년 9월 말  RBC가 172%까지 떨어져 
자본을 늘리라는 요구를 받았고, 
2022년 2분기에는 157.9%까지 RBC가 더 떨어지게 되었는데,

이 상황에서 흥국생명은 금융감독원에서 RBC 비율이 낮다고 
자본을 늘리라고 하는데 유상증자가 잘 될 것 같지도 않고, 
그룹 지원을 받기도 힘들고 기존 주주의 증자를 받기도 힘든 상황에 몰림. 
 
그래서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게 되었는데,

이 신종자본증권은 만기 30년짜리 증권이라 
금융감독원에서도 30년을 빌렸으면 이것은 자본으로 봐도 무방하다고 
자본에 포함시켜 줘서 증자를 안 해도 신종자본증권 발행금액만큼 
RBC 비율이 올라가게 되는 하이브리드 증권임
http://dic.mk.co.kr/cp/pop/today.php?dic_key=17357

 
흥국생명은 5억 불의 신종자본증권을 싱가포르에서 외국 투자자들에게 발행했고
 이 신종자본증권에는 한 가지 조건이 달려있음. 


만기가 30년이지만, 5년이 되면 새로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해서 
기존 신종자본증권을 조기상환해야 하고(5년 콜옵션), 
5년이 지났는데 상환하지 않으면 그때부터 
일종의 패널티 성격의 높은 금리(스텝업)를 내야 함. 
 

흥국생명이 발행한 신종자본증권도 연 4.475%로 발행되었지만, 
5년 차에 이 신종자본증권을 조기상환하지 않으면, 
신종자본증권의 금리가 4.475%에서 6.7%로 상승하는 조건이 있음 
 
문제는 지금 레고랜드 사태 등으로 
시장 금리가 상승했을 뿐 아니라 돈도 말라서 
신종자본증권을 구입할 투자자도 잘 없는 상황인 것임.
(강원도에서 정말 큰 일을 해내셨음)

 
이제 흥국생명은 새로운 신종자본증권을 8%에 발행하겠다고 해도, 
살 사람을 찾지 못하는 상황
 
사실 흥국생명이 돈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지만, 
자기 돈으로 5억 불을 갚으면 지금도 RBC가 157%로 아슬아슬한데, 
RCB 비율이 더 떨어져서 부실 보험사가 될 수 있는 Risk가 있음

그래서 흥국생명은 조기상환 안 하고 
그냥 패널티 이율(스텝업)을 내겠다고 결정  
 
패널티 이율이  6.7%밖에 안되니 훨씬 싸다는 생각할 수 있으니
흥국생명 1개 회사의 판단으로는 합리적인 결정으로 볼 수도 있는데,
 
문제는 투자자들과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한 다른 회사들
즉 금융시장 전체임
 
투자자들은 비록 액면 기한은 30년이지만, 
5년이 되면 조기 상환을 하니 실제로는 5년짜리라고 생각했는데 
흥국생명이 이러한 신용을 깬 것이 됨. 
 
신용이 깨진 흥국생명의 신종자본증권의 가치는 한 번에 15%가 하락하고 
다른 보험사들의 신종자본증권 가치도 크게 하락하기 시작함

https://marketinsight.hankyung.com/article/202211047539r

 
한화생명 10억 달러, KDB 생명보험 2억 달러 등 
다른 보험사의 신종자본증권들이 5년 차 조기 상환 시점이 다가오는데, 

한화생명 신종자본증권은 흥국생명 조기상환 거부 발표 후
순간적으로 발행 당시 액면가의 70% 수준으로 호가가 떨어졌다고 함
 
그러니까 한번에 금융시장에 큰 혼란이 온 것임

 
흥국생명의 이번 의사결정으로 해외투자자들은 한국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에 대해 
신뢰 이슈를 가지게 되었고 채권 가치 하락이 시작되고 있음
 

한국투자증권의 외화채 발행이 연기되었고, 
하나은행과 신한은행의 호주달러 표시 채권(캥거루본드) 발행도 
투자자 모집이 힘들어지는 분위기임
 
이제 흥국생명이 조기상환을 한다고 다시 의사결정을 바꾸더라도  
금융은 신뢰를 바탕으로 움직이는 매커니즘이라 
한번 깨진 신뢰가 바로 회복되지 않을 것으로 보임
 
이렇게 흥국생명 조기 상환 미실행 공시를 전후해서 
한국 5년 물 CDS(Credit Default Swap, 부도 발생 시 보상을 받는 옵션)프리미엄이 
5년만에 최고치로 올라 갔음
 
이 것은 외국에서  한국을 그만큼 위험하게 보기 시작했다는 말임


2022년 10월 19일 수요일

레고랜드 부도와 금융시장 경색

 







강원도 산하 공기업인 강원도중도개발공사(레고랜드 운영 사)가

레고랜드 공사 과정에서 발행한 채권을 상환하지 않으면서 디폴트가 발생했는데,

이는 리츠 관련 주식 종목을 하락시켰을 뿐 아니라 채권 시장을 전반적으로 급랭 시켰다.

(사실상 국채 신용 등급인 강원도의 채권이 디폴트날 것이라고 누가 예상했겠는가?)


조금만 자세히 이야기 하자면 강원도 채권을 가지고 있는 해당 채권 펀드에서
환매 요구가 나오니 그나마 유동성이 있는 국공채 팔고,
펀드 내부 운용 규정이 있으니 회사채는 팔리지도 않는데 규정상 팔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결국 할인해서 던지는 상황이 되니 다른 채권 보유자들도
남들보다 먼저 팔겠다는 니즈가 생기면서 일종의 투매가 생긴 것이다.


이런 상황이라 회사채, 은행채 등이 소화가 안되고 있고
기업들은 대출 밖에 답이 없으니까 은행에 계속 대출 요구하고,
(은행이 최근에 고금리로 예금을 많이 유치하는 상황과도 관련)

은행은 은행채를 계속 찍어서 대출해주려고 하니까
회사채 시장이 다시 막히는 완전히 꼬인 상황인데,


지금 정부는 딱히 대책을 생각하지 않는 것 같으니...


이제 진짜 겨울이 오는 것인가?

2020년 3월 15일 일요일

코로나 바이러스와 대공황(Great Depression) #2

하필이면...

https://trmcap.blogspot.com/2020/03/great-depression-1.html

이런 글을 쓰자마자 다우존스, FTSE, 코스피 등 대부분의 국가의 지수가 
어마어마 하게 폭락하기 시작했고...
(글쓴 다음 날에 코스피가 1,700을 깨고 내려갔다가 왔다.)

이미 네이버 뉴스, 유튜브 등등에서는 경제위기가 올 것인가 등등 
엄청나게 자극적인 콘텐츠가 올라오고 있다.

사실 나도 코로나 바이러스와 대공황이라는 연재를 작성하면서
이거 이러다가 경제 위기 한 번 오는거 아냐? 라는 막연한 생각을 가지고 시작한 것이라서...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그냥 이런 견해도 있다! 정도로 생각해 주시면 감사하겠다.


우선 대공황(Great Depression)이 코로나 바이러스로 부터 시작된다면...
이번의 주가 지수 하락으로 부터 시작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의 주가 지수 하락이 큰 의미가 있는게...

많은 사람들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력이 더 심각해지면
경제가 과거 금융위기 때 처럼 망가질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방증해 주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경제의 체력이 튼튼하다는 것을 or 
앞으로 튼튼하게 정부에서 유지 시킬 것이라는 것을
사람들에게 인식시키지 않으면 
실제로 경제위기/대공황이 시작될 위험이 있다고 생각한다. 


만약 실물 경기가 지속 좋지 않아서 
많은 사람들이 부채를 갚지 못하는 상황이 생기면...

진짜로 헬게이트가 열릴 것이다.

무슨 말이냐면...
2015년 이후 박근혜 정부의 빛내서 집사세요 정책이후
가계 대출이 전정부지로 올랐고

많은 30~40대 사람들이
2016~19년 기간에 은행에서 빛 뿐만 아니라 영혼까지 끌어모아서 
서울에 집을 사기 시작했다.
심지어 갭투자도 횡횡했다.

그런데.. 이렇게 영혼까지 끌어모았는데...
만약 실직자가 되서 이자를 못낸다면???

당장 집을 빼앗기고 남은 건 하나도 없는 빈털털이가 될 것이다.


다행히도.. 정부에서 대출을 통한 부동산 투기를 어느정도 막아서
Risk를 억제해 놓았지만..
아직도 1천조원 이상의 가계대출이 남아있다.

이제 이들의 빛이 어떻게 될 것인지가 실물경제에 큰 변수가 될 것 같다.




잠시 주식 이야기로 돌아와서...
3월 둘째 주에 주가 지수가 크게 흔들렸던 것은 
그동안 주식시장으로 몰려있던 투자자금이
다시 적절한 곳으로 자리 찾기위해 움직이는 과정에서
보여준 심한 움직임으로 판단되며 
과거의 사례를 통해서 주가의 움직임을 대략이나마 예상할 수 있는데...

참고할만한 과거의 비슷한 사례로 
2008년의 금융위기 당시 정도를 이야기할 수 있다.

2008년 4월까지 코스피는 1,800대 수준이었는데
2009년 2월 1,100대까지 빠졌다가
다시 쭈우욱 올라서 2011년 4월에는 2,200대까지 오르게 된다.

그런데 우리가 2008년 금융위기 사태 중에서 놓치고 있는 것들이 있다.

이것은 나중에 다시 본격적으로 다뤄야 할 것 같다.


그리고 2008년의 금융위기 말고 큰 폭락을 했던 사례는...
 9/11 테러 이후의 주식시장 정도?

2001년의 9/11 테러 이후 9/12일, 
한국 코스피의 대부분 종목은 하한가를 만들며 갭하락으로 시작했고
그때 많은 사람들이 손실을 봤는데...

그 후로 지금까지 2001년 9월의 주가 지수 보다 낮은 날이
단 한번도 없었다.


2019년 12월 1일 일요일

중국발 금융 위기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얼마전 위와 같은 보고서를 보게 되었는데..


그 내용인 즉슨,

지난 10월 말(2019년) 중국 이촨농업상업은행과 
잉커우연안은행에서 예금주의 뱅크런이 발생했고, 
(10월 29일 ~ 11월 6일)

중국 정부는 일정 금액 이상의 인출을 
규제하겠다는 방침을 공표했다고 한다.(11월 5일)

중국에서 이런 뱅크런이 발생한 이유는
지방의 중소은행이 파산하는 사례가 발생하면서

--> 바오샹 은행, 진저우 은행, 헝펑 은행 등인데
--> 이렇게 은행을 파산 시킨 것은 20년만에 처음이라고 함

--> 바오샹 은행은 291개 지점에 8,000명 이상의 직원을 둔 
--> 상당한 규모의 은행임에도 파산에 들어간 것에 
--> 중국 내부에서도 상당한 충격으로 받아드리고 있으며
--> 이 은행의 총자산이 5,358억 위안(약 90조)인데
--> 이 중에 부채가 5,034억 위안으로 그냥 다 빚 덩어리이고,
--> 부채 중 2,211억 위안이 은행 간 자금 시장에서 빌려온 것
----> 그러면 2,211억 위안을 빌려준 은행은 다 손실 보겠네?

중국 내 일반인들의 중국 은행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졌을 뿐 아니라

파산 위기에 몰린 중소 은행에 대해
국유화 등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채권자에 대한 피해가 발생하는 등
정부에 대한 신뢰도 또한 낮아지게 되었던 것이고,


다른 한편 미중무역분쟁이 
쉽게 끝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경기 침체 장기화가 전망되어 
향후 추가적인 금융 부실 등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 실제로 이게 젤 큰 문제이다.
--> 은행 입장에서 못받을 돈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 
--> 충당금을 쌓아야 하기 때문이다.

--> 이 경우 은행의 대출 여력이 줄어들어 
--> 추가 대출이 불가 할 뿐 아니라
--> 기존 대출도 회수해야 할 수도 있다.

--> 그리고 이 와중에 중국 정부는 대출금리를 낮추고
--> 대출을 확대할 것으로 요구하는데..
--> 이건 은행들에게 가혹한 외부 환경임


실제로 중국인민은행(한국은행 격)가 
11월 25일에 발표한 '2019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중국 은행의 13%가 넘는 은행들이
높은 위험군에 속해 있다고 하며







로이터에 따르면 19년 상반기 기준
2018년 사업보고서를 발표하지 않은 은행이 18곳 이상이고 
그 은행들의 자산 규모만 합해도 4조 4,700억 위안이라고 한다.
(심지어 그 자산의 대부분이 악성 부채로 의심된다고 함)

--> 헉 그러면 700조원 이상의 빚들이 터질 수도?
--> 그럼 이 은행들만 본격적으로 파산하면?
--> 연쇄적으로 터질 가능성은?


중국 정부는 그동안 지속적으로 
금융기관 규정을 변경하거나 하여 
유동성을 공급해 왔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은행들이 하나둘씩 파산하고
일반인들은 위쳇 등의 메신저를 통한 루머에 
뱅크런을 시작하고 있으니..


내가 보는 비 전문가적인 시각으로는
중국발 금융 위기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2019년 8월 7일 수요일

제2의 IMF가 온다고?

요새 어르신들 사이에서 
제2의 IMF가 온다는 내용의 찌라시가 
SNS를 통해서 도나보다.



일본의 경제 제재와 관련해서
한국은 제2의 IMF 위기를 맞을 것 이라는 
협박 같은 것인가 보다.


근데... 조금의 상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국의 IMF 위기는 일본이 바라는 바이며
실제는 그럴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것을 금방 알 것이다.


그 이유는...

1. 97년도 IMF 위기의 원인이었던 
    단기 외채 규모가 당시보다 많이 적다.


2. 기업들의 부채가 크지 않다.


3. 한국 전체의 무역수지 또한 
    흑자로 외화가 유입되는 구조이다.




그러니... 불필요한 걱정은 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다만, 경제적 공격을 받는 만큼
수출감소 및 경기 하강 등의 타격은 예상되니
정부 차원에서 적절히 자금을 풀어서 
경기를 활성화 시키는 것은 필요하다.
(근데 추경을 막아서던 세력이 있어서리...)

2019년 7월 21일 일요일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 인하와 對 정부까기 선동 그리고 개미 털기

지난 7월 18일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 금리를 기존 연 1.75%에서 연 1.50%로 
0.25% 포인트 인하하였음



기준 금리를 인하하는 것은 재정 정책의 하나로
경기의 침체가 예상될 때
화폐의 가치를 낮춰서 자산의 가치 상승을 유도하고 
자산 가치 상승 예상에 따른 거래 활성화 및 
유동성 확대로 이끄는 아주 일반적인 정책이다.



그래서 금리를 인하하면 
채권 가격은 하락하고 주식 가격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한국 경제 상태는 
경기 침체가 매우 심각한 상태로
정부의 적극적인 확장 정책이 필요한 상태이다.



하지만 지금 정부는 확장 정책을 펼치지 못하는데
이는 제 1여당인 자한당이 
추가 경정 예산(추경)에 반대하여
확장 정책을 법적으로 방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자한당은 한국 경제가 나빠질수록 
자신에게 유리할 것이라는 셈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절대 그렇게 되지는 않을 것 같다.



아무튼 정부의 확장 정책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경기를 활성화 시키지 위해서는 
기준 금리인하가 불가피한 바


결국 한국은행은 7월 18일로 
기준 금리를 인하하였는데...


늦은 감이 있는 조치라는 생각이 들지만
지금이라도 정부, 기업, 가계 등이 합심하여 
적극적으로 경기를 활성화 시켰으면 한다.


하지만 이와 관련한 언론의 반응을 보자



일단 제목만 봐도...
기준 금리 인하가 집값 자극으로 연결된다는 이야기를 써놨다.


아주 말이 안되는....  그냥 선동 수준으로 보인다.
(이런 언론에 속는 사람이 없기를...)



그리고 이번 금리 인하와 관련하여 함께 가격이 움직인 
맥쿼리 인프라 펀드의 가격 움직임을 보자



정확하게 7/18일의 하루 전인 7/17일까지 가격이 지속하락하며
금리 인하를 준비하는 모습을 보인다.


가격이 떨어지는 것에 위기감을 느낀 개미들이 털리는 모습인 것이다.
(거래량도 함께 증가했다)


그리고 7/18일 발표이 후 다시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며
개미털기를 끝내고 다시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