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통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통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9년 10월 24일 목요일

소득과 혼인율에 대하여

소득 수준과 혼인율에 대한 
통계 자료를 통해 


소득 수준이 혼인율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간단히 알아보고자 한다

한국 경제 연구원에서는 
전체 근로자를 10등분으로 나누어 
가장 잘버는 사람들 부터 10% 씩 나누었다.


위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2분위 이하는 정식으로 생계형으로 일하기 보다는


파트타임이거나 가족의 일을 돕거나 
레저형으로 일하는 분들로 추정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우리가 아는 노동자의 위치는 
적어도 3분위 이상으로 판단된다.


남자의 경우는 돈을 잘벌수록 결혼을 많이 한다.

연봉 2,800만원 이상부터는 
연봉이 5~700백만원씩 올라갈때 마다

혼인율이 7~10%씩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역시 경제력이 있어야 결혼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여성의 경우는 소득이 거의 없는 
평균 연봉 70만원 또는 1,100만원 대에 있는 사람들이 
가장 혼인율이 높다.


그리고 연봉 1,800만원 이상부터 5,000만원까지는 
혼인율이 70% 이하로 나오는데 

이는 자신이 돈을 충분히 벌지 못하는 상태에서
많은 돈을 버는(연봉이 높은) 남자를 
만나지 못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그런데... 여자의 경우 소득이 낮은 경우(1분위, 2분위)가 
오히려 혼인율이 높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할까?

연봉 70만원과 1,1000만원으로는 생활을 영위할 수 없는데...

내 판단에는 기본적으로 집에 돈이 있는 
자산가 집안의 여식이 아닌가 싶다.


이를 통해 여자의 경우는 
제대로 된 근로소득이 없더라도 
결혼에는 크게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울 수있다.




그러면 남자는?
남자는 집에 돈이 많아도 
소득이 낮으면 답이 없다는 의미가 된다. ㅜㅜ



평균 혼인 연령이 가장 낮은 도시는?(About 혼인율)

통계청은 항상 보물 창고이다.

이번에 혼인율 관련 자료를 받아 보다가 
의미 있는 내용이 있어 공유하고자 한다.

인구 1천 명당 혼인 건수는 지속하락하고 있다.

IMF 전에는 1천명 당 9.4명이었는데 이제는 5명이다.
남자 초혼과 여자 재혼의 사례가 
여자 초혼과 남자 재혼보다 많다.

아무래도 남자가 재혼할 정도가 되면 
여자 초혼을 만나기 보다는 재혼을 만나는 것일까?



 98년 대비 남자 연상의 비중은 줄었고
동갑과 여자 연상의 비중은 늘었다.

단, 08년 대비는 비슷하다


 인구 1천명 당 결혼 건수는 세종시가 압도적으로 높다..

아무래도 공무원이 많은 도시라서 높은 것 같고
이는  경제가 안정적이라고 생각하면 혼인율이 올라간다고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이다.


1년 중 가장 많이 결혼하는 달은 12월과 5월이다.

이건 2008년부터 10년간의 평균을 봐도 비슷하다.

그리고 9월이 가장 결혼을 안하는 달이다.

이건 왜 이럴까?

2019년 6월 30일 일요일

공공기관의 블라인드 채용 이후~ SKY 출신 입사가 늘었다??

지난 6월 26일 아래와 같은 뉴스가 떴다.

간단히 읽어보니 기사의 제목과 풀어가는 논리가 좀 이상해서 그렇지 한 단계만 더 생각하면 매우 상식적인 내용인데,

이 뉴스 댓글과 이 뉴스를 공유한 SNS에서는 정부를 비난하는 댓글이 많은 것 같다.

아마도 뉴스를 읽는 사람들이 좀 오해하는 면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상식적으로 생각해봐야 할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 봤다.


기사관련 링크 - 나중에 링크가 짤릴 수도 있겠음
https://m.news.nate.com/view/20190626n38728?sect=sisa&list=rank&cate=interest&fbclid=IwAR2L5vfk8wuI1OyLeRXaV6MNDW_OyIl3FvbqmgGQJhS18kxsadA_hpmIMxA










뉴스의 내용인 즉

문재인 정부에서 블라인드 채용을 시작한 다음에

서울 소재 금융공기업에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출신의 합격자 비중이 늘었다는 것이고
그 이유는 블라인드로 개인 신상에 대한 내용을 알 수 없으니
필기시험 난이도가 올라가서 소위 시험을 잘보는 SKY 쪽 졸업생이 더 많이 합격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과거에 공공기관 등에 취업을 준비해 본 사람은 안다.
블라인드 채용과는 별개로 공기업, 공무원은 필기시험이 거의 100% 당락의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이 기사 뭔가 이상하다.. 그래서 좀 알아봤다.



블라인드 채용이란 무엇인가?

블라인드 채용이란 문재인 정부에서 17년 8월 부터 시행한 정책으로 공무원과 공공기관의 채용시 입사지원서에 편견이 개입될 수 있는 항목을 삭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블라인드 채용 변화와 관련한 5가지 원칙은 아래와 같다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7/07/468115/





위의 내용만 보면 뭔가 공평하게 채용할 것 같다는 느낌이 드는데 SKY 입사가 늘었다는 것은 무슨 말일까? 

해당 기사에서 제시한 근거인 아래 그래프를 보자


근데, 이게 정말 많이 늘어난건가?





예를들어 금융감독원의 SKY 출신 비중이 51.4%에서 53.4% 로 2% 증가한 것이? (심지어 수출입은행은 변하지 않았고 전부 0~4% 내외의 변동에 불과함)

내가 알기로는 저 공기업들이 채용을 원래 많이 안하는 곳인데 저정도 비중 변화는 거의 차이 없는 거 아닌가?

그래서 찾아봤다.

아래를 보자 금융감독원은 2018년에 5급 신입직원을 57명 뽑았고, 2017에는 55명 뽑았다.
2% 증가라면 1명 내외로 움직였다는 이야기인데... 


1명 더 뽑았다고 블라인드 채용이 문제가 있는거라고?
???????????????????????????????????????????????


상식적으로 뭔가 이상하지 않은가?  







뭔가... 큰 변화가 없는데 엄청난 변화가 있는 것처럼 기사를 써놨다...

오히려 핵심은 아래 그래프인데도 불구하고 말이다.

심지어 맨 위의 그래프와는 다르게 아래 그래프는 단순 막대 그래프로 중요도를 낮춘 느낌이다.





근데... 지방에 위치한 아주 좋은 환경의 공기업은 오히려 SKY 출신이 줄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참고로 기사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상식적으로 보면 블라인드 채용 원칙 5번 때문으로 보인다.

그래서 맨 위에 언급한 기사의 내용을 
정확하게 논리적으로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이 되야 할 것이다.

17년 하반기부터 문재인 정부가 제시한 블라인드 채용을 진행한 결과

1. 채용의 결과는 거의 변하지 않았다.(과거에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고 그냥 시험으로 뽑는다.) - 이 부분을 이슈화 하는게 차라리 적절할 것이다.

2. 지방에 위치한 공기업에는 해당 지방 출신의 합격자가 늘었다.(지방 경제에 조그마한 도움이 될 것이다) - 이건 지방 발전 관련해서 좋은 것 아닌가?

이정도 결론이 적절한 것 같다.











2019년 4월 6일 토요일

대한민국의 노래방 및 PC방 점포수

2019년 1월 기준 한국에 있는 노래방은 총 31,179점 이다.

(국세청 자료)

노래방의 경우 10년 전 대비하여 10%의 감소폭을 보인다.


또한 같은 날 기준 한국에 있는 PC방은 총 10,480점 이다.

(국세청 자료)

PC방의 경우 10년 전 대비 약 30%의 감소폭을 보인다.

PC방이 노래방보다 많은 감소를 보였던 이유는
가격을 판가에 반영시키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노래방의 경우 사회 진출 前 어린 친구들도 많이 가지만
직장인의 회식 후 2차 수요도 꽤 있는 편이다.

또한 각종 음식/음료 등 판매를 통해 부가 매출을 창출하기도 한다.

하지만 PC방의 경우 이용 연령이 사회 진출 前
어린 친구들로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따라서 판가를 올리기에 쉬지 않은 구조이다.
(일부 음식/음료 매출도 단가가 높지 않은 품목으로 구성)

결국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임대료를 감당 못하니
폐점하는 점포가 늘어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현재 일부 PC 방에서는 일부 코인채굴 등
기타 부가 수익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앞으로도 밝은 미래가 있다고 보기에는 어려울 것 같다.